3기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미세먼지 집중관리범위 설정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표제지
목차
요약문 9
제1장 서론 15
1.1. 연구배경 및 목적 16
1.2. 연구범위 및 체계 17
제2장 미세먼지 관련 법규 및 사례조사 19
2.1. 국내 미세먼지 관련 법규 21
2.1.1.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21
2.1.2. 「대기환경보전법」 24
2.2.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관련 지침 25
2.2.1.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ㆍ운영 가이드라인 (환경부, 2019.11) 25
2.2.2. 경기도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설정 및 지정현황 26
2.2.3. 서울시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운영 및 관리지침 및 지정현황 28
2.2.4.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정 방법의 한계점 및 대안 30
2.3. 미세먼지 관리권역 범주화 연구 사례 32
2.3.1.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32
2.3.2.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경기도 지역별 미세먼지 유사성 분석 32
2.3.3. 요약 34
2.4. 개발사업에 의한 미세먼지 영향권역 연구 사례 35
2.4.1. 농도별 미세먼지 영향권 평가 방법 35
2.4.2. 공사장 크기별 미세먼지 영향 거리 평가 결과 36
제3장 경기도 미세먼지 관련 현황 41
3.1. 미세먼지 농도 현황 42
3.1.1. 대기오염측정망 현황 42
3.1.2. 경기도 미세먼지 농도 경향 48
3.1.3. 권역별 미세먼지 농도 공간분포 분석 52
3.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현황 59
3.2.1.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근거 59
3.2.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결과 60
3.2.3. 권역별 미세먼지 배출량 공간분포 분석 64
3.3. 비산먼지 관련 민원 발생 현황 67
제4장 도시개발 사업에 의한 미세먼지 영향권 분석 70
4.1. 미세먼지 영향권 평가 방법 71
4.1.1. 대기확산 모델링 개념 71
4.1.2. AERMOD 모델의 특성 및 모델링 절차 74
4.2. 영향권 평가 대상지역 77
4.2.1. 대상 지역 개발개요 77
4.2.2. 기상 특성 79
4.2.3. 대상 지역 주변 대기오염 현황 88
4.3. 확산모델을 이용한 확산평가 98
4.3.1. 사업지역 공정별 배출량 산정 98
4.3.2. 지역별 AERMOD 모델링 영역 및 입력자료 101
4.3.3. 대기확산모델링 (AERMOD) 결과 분석 109
4.3.4. 대기확산모델링 (SCREEN3) 결과 분석 119
4.4. 대기 영향권 설정(안) 및 모델링 결과 비교 124
제5장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설정방안 129
5.1.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설정(안) 제시 130
5.2.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미세먼지 관리 방안 131
제6장 결론 및 제언 134
6.1. 결론 135
6.2. 제언 :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지역 운영 가이드라인 개정(안) 136
첨부파일
-
3기_신도시_등_대규모_개발사업에_따른_미세먼지_집중관리범위_설정_연구.pdf (5.4M)
0회 다운로드 | DATE : 2022-12-10 17:31:00
- 이전글[환경부] 지역이 주도하는 탄소중립 우수사례 12개 선정 22.12.10
- 다음글2020년 기준 환경보호지출계정 편제 보고서 22.12.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